
한다맨이 유튜브로 들어왔다. 올해 개설된 유튜브 채널 한다맨TV는 대교어린이TV 프로그램인 ‘한다면 한다! 한다맨’ 의 포맷 확장판. TV에서는 어린이들과 게임을 했다면 이제는 대상을 넓혀 구독자들과 소통하며 기상천외한 게임 대결을 펼친다. 어린이들의 영웅에서 생계형 히어로로 돌아온 한다맨. TV 속 한다맨과 유튜브 속 한다맨은 어떻게 다를까. 한다맨TV 제작을 이끄는 대교어린이TV 크리에이티브제작팀의 지우석 PD를 만났다.

생계형 히어로란 수식어의 의미는?
유튜브란 생태계로 진입하려면 콘텐츠가 플랫폼 성격에 맞아야 한다. 유튜브에서는 현실적이고 생활에 밀접한 코드가 필요하다. 그래서 한다맨도 더욱 현실성을 가져야 했다. 한다맨도 우리와 다를 바 없이 똑같이 먹고 살고 사람들과 같이 생활하고 호흡 하는 캐릭터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다. 일례로 현실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유튜브에서는 한다맨이 자신의 목소리로 말한다. TV에서는 히어로 보이스를 따로 입혔다. 성우 더빙이 빠지고 진짜 목소리가 공개되자 시청자들이 처음에는 낯설어했는데 지금은 더 잘 어울린다며 좋아한다.

캐릭터 롤모델이 있었나?
다들 펭수가 아니냐고 물어본다. 한다맨이 유튜버로 도전하는 데 펭수의 영향이 전혀 없었다고 볼 수 없지만 그렇다고 롤모델은 아니다. 방송인 장성규 씨를 대입시켜 한다맨의 캐릭터를 설정했다. 한다맨의 에피소드들을 살펴보면 말로 흥하고 말로 망하는 사례가 많다. 허세 부리다 힘들어하면서 주저앉고 성공보다 실패가 많은 영웅이며 성공하려고 애쓰는 캐릭터다. 그간 한다맨의 모습은 말이 많고 좌충우돌하면서 사람들과 호흡하는 것이었다. 이런 코드들을 볼 때 이상적인 롤모델이 장성규 씨라고 생각했다. 또 요즘은 착하고 정의로운 것보다 천진난만하고 할 말 다 하는 캐릭터가 뜨고 있는 부분도 고려했 다. 말 나온 김에 덧붙이면 요즘 펭수가 대세인데 펭수 캐릭터의 원조는 한다맨이다. 사람을 만나고 찾아가며 소통한 건 한다맨이 최초다. 유튜브 진출이 늦어진 점이 아쉬움 으로 남는다.(웃음)

유튜버 한다맨, TV와 뭐가 다른가?
애드리브의 수준이 다르다. TV 속 한다맨은 태생이 어린이들을 위한 히어로였다. 4∼7세 아동을 주 타깃으로 했기 때문에 하는 행동과 말에 제약이 있다. 유튜버 한다맨의 메인 타깃은 10∼20 대로 대상을 넓혔다. 이제 TV 방송은 유튜브에서의 시청자와 연령층 확장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유튜브에서 살렸던 부분을 자체 심의를 거쳐 방송으로 송출하는 방식이다. 실제 유튜브에서는 아직 초등학교 저학년층이 주로 시청하고 있지만 회가 거듭될수록 고학년이나 그간 없었던 성인 시청자들도 유입되고 있다.
엉뚱한 도전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한다맨에게 도전은 삶의 목표이자 희망 같은 것이다. 작은 도전이 가치 있고 도전하는 사람들도 가치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
사소하지만 해낼 수 있다는 능력 자체가 대단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그런 용기와 희망이 아이들뿐 아니라 요즘 같은 힘든 시기에 어른들에게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드러내놓고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은연중에 느껴지도록 하고자 한다. 한다맨은 앞으로도 좌충우돌하며 코믹하게 도전해나갈 것이다. 작은 ‘병맛’ 같은 도전들이 무의미해 보일지라도 그 나름의 의미를 찾아갈 수 있도록 만들겠다. 많은 시청자들이 공감했으면 한다.




제작과정을 소개해달라
전담팀이 구성됐다. 저와 작가를 비롯해 캐릭터사업팀과 미디어서비스팀의 팀원으로 꾸려 졌다. 매주 정기적으로 만나 아이템 회의를 하지만 순간순간 떠오른 아이디어나 정보들을 SNS로 공유하면서 곧바로 의사를 결정하는 사례도 많다. 유튜브 콘텐츠의 흐름과 피드백은 매우 빠르다. 그래서 이슈가 생겼다 싶으면 번개모임을 한다. 의사결정 과정이 길지 않다. 제작진이 결정하면 관리자 등 상부의 지시 없이 바로 제작에 들어간다. 제작진을 믿어준다. 대신 상부의 모니터링을 통해 들어오는 피드백을 참고해가면서 제작 하고 있다. 콘텐츠 선정은 다른 유튜버들이 한 것을 한다맨 방식으로 접목시킬 수 있는 것들이나 유행하는 콘텐츠 중에서도 한다맨과 어울리는 것을 최우선으로 한다.
라이선싱 사업 분야 반응은 어떤가?
시장에서 반응이 오고 있다. 현재 학습만화 제작과 관련해 얘기가 오가고 있는데 에세이나 포토북 제작도 논의 중이다. 옷이 빨간색이어서 라면이나 떡볶이 브랜드와의 협업도 진행 중이다. 레저 형태의 완구도 협찬으로 제공되면서 완구업체의 문의 전화도 자주 온다. 시작 단계이므로 협찬은 언제나 대환영이다. 한다맨의 홍보도 필요하니까. 하지만 중요한 점은 한다맨과 어울리고 한다맨이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다맨의 유튜브 콘텐츠가 더욱 풍부해지고 당초 약속한 대로 구독자 수가 4만 명을 넘으면 라이선싱 사업이 더욱 활성화되리라 기대하고 있다. 개인적 소망은 라면을 좋아하는 한다맨을 활용한 ‘한다면’ 이 출시되는 것이다.(웃음) 또 생활 밀착형 캐릭터이기 때문에 생활 아이템 제품들과는 모두 협업하고 싶다.
한다맨의 미래는?
지금까지 한다맨에게는 항상 대본과 주어진 액션이 있었다. TV속 한다맨이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같이 만들어가는 느낌이라면 유튜브 채널에서의 한다맨에게는 혼자 헤쳐나가야 하는 상황이 펼쳐질 것이다.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한다맨이 스스로 생명력을 가지면서 끊임없이 도전하는 아이콘이자 브랜드이자 콘텐츠가 됐으면 한다.
출처 : 월간 <아이러브캐릭터> 2020.5월호
<아이러브캐릭터 편집부> (master@ilovecharacter.com)
[ⓒ 아이러브캐릭터.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