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을 혼자 만드는가? 나와 안미라 PD가 딩동댕대학교를 함께 연출한다. 나와 함께 프로그램을 처음 기획했던 이슬예나 PD는 딩동댕대학교 유튜브 채널의 책임프로듀서 역할과 함께 딩동댕 보건실이란 코너를 공동 연출하고 있다.
MZ세대 A/S 표방 웹 예능이란 슬로건에 담긴 의미는? 딩동댕대학교의 전신은 딩동댕유치원이다. 딩동댕유치원을 보고 자란 지금의 MZ세대에게 애프터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취지로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딩동댕대학교가 다루는 주제는 정말 다양하다. 어린 시절 배운 대로 열심히 이를 닦았더니 잇몸이 내려앉은 성인들을 위한 양치법을 소개한다거나 축의금 기준에 대해 얘기하는 등 생활밀착형 정보를 다루기도 하고 친구와 헤어져요 , 교수 면담처럼 성인들의 정서적 함양을 위한 주제도 아우른다. 하지만 웹 예능인만큼 너무 무겁지 않고 재미있고 트렌디하게 전달하려 노력한다. 제작팀은 오늘도 성인들의 지적 , 정서적 , 신체적 발달 함양이란 거창한 목표를 향해 낄희 교수님 , 붱철 조교님과 함께 나아가고 있다.
시즌1에 대한 안팎의 반응은 어땠나? 시즌1에서는 이금희 아나운서가 낄희 교수를 맡아 진행한 만큼 깊이 있고 진중한 이야기를 많이 다뤘는데 교수님의 목소리에 위로받았다는 출연자와 시청자들의 의견이 많았다. 우리는 왜 남의 엄마를 욕하는가 , 대머리의 사랑법처럼 시대정신과 사회 이슈를 소재로 만든 에피소드에는 진지한 댓글들이 많이 달렸다. 프리 브리트니 사례연구 편에서 원더걸스의 전 멤버 예은 씨가 언론과 대중에 대한 생각을 담담하게 이야기했는데 “ 딩동댕대학교를 처음 봤는데 일반인이나 유명인도 자신의 속내를 털어놓기에 정말 좋은 공간인 것 같다 ” 는 어느 해외 구독자의 댓글이 아직도 기억에 남아 있다. 실제 많은 출연자들이 스튜디오에서 울고 웃었는데 구독자들도 취지를 잘 이해해준 것 같아 뿌듯했다. 개인적으로는 이 에피소드로 큰 상을 받아 의미가 남다르다.
시즌2부터 포맷이 바뀐 배경이 궁금하다 이금희 아나운서가 개인 사정으로 하차하면서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했다.
시즌2에서는 이야기의 무게를 조금 줄이고 좀 더 왁자지껄한 대학교를 표현하고 싶었다. 낄희와 붱철이란 동물 캐릭터 사이에 구독자를 대변할 수 있는 인간 캐릭터를 고정으로 배치하고 싶어 유능하면서도 친근한 이미지의 방송인 황광희 씨를 합류시켜 지금의 포맷을 갖췄다. 덕분에 시즌1과는 전혀 다른 매력으로 딩대생들을 찾아가고 있다.
현재 방영 중인 코너는 어떤 게 있나? 유튜브 채널에서 딩동댕대학교와 딩동댕 보건실을 볼 수 있다. 때로는 대학원생 붱철조교의 애환을 담은 노래방 콘텐츠 붱철쇼를 선보이고 있다. 이전에는 연예특강 , 우리 연애가 달라졌어요 , 이번 생은 선인장 같은 개성 있고 재미있는 콘텐츠를 업로드했다.
새로 준비 중인 코너나 기획 중인 아이템이 있나? 물론 있다. 하지만 말할 순 없다. 아직 비밀이다.(웃음)
등장 캐릭터는 어떻게 탄생했나? EBS 입사 당시부터 성인 타깃의 손인형 토크쇼를 만들고 싶다는 꿈이 있었는데 대학교 세계관을 떠올리자 자연스럽게 교수와 조교 캐릭터가 생각났다. 디지털 콘텐츠는 소통이 핵심이다. 그래서 큰 귀로 모두의 이야기를 경청하며 사람을 함부로 평가하지 않는 사랑둥이 낄희 교수님을 먼저 기획했다. 1980년대 미국 빈티지 애니메이션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했는데 약간 색이 바랜 파스텔 톤으로 꾸미되 눈은 선명한 초록색을 입혀 4차원 정신의 소유자란 느낌을 주려고 했다. 붱철 조교는 귀엽기보다 공감이 가는 밈이 되길 바랐다. 단번에 귀여움을 느끼기보다 짠한 모습이 웃겨 팬들 사이에서 공유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붱철 조교란 캐릭터를 기획했다. 두 캐릭터 모두 훌륭한 실력자인 한결 디자이너와 오금석 부장님 덕분에 인형으로 멋지게 탄생할 수 있었다.
다룰 주제나 소재는 어디에서 찾나? 시즌1은 주로 시의성 있는 이슈에서 소재를 찾았지만 시즌2는 제작진의 실생활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다. 유치한 농담과 은어가 가득한 회의 도중 “ 이러다 우리 죽을 때도 대박 사건! 이라고 외치겠다 ” 는 얘기를 하다가 ‘ 어른스럽게 털어요 ’ 란 에피소드를 제작했다. 또 이를 세게 닦아 잇몸이 내려앉은 내 고민을 토대로 ‘ 낡은 이를 닦아요 ’ 같은 에피소드가 탄생하기도 했다. 회의하면서 수다를 떠는 과정에서 좋은 주제가 많이 나오는 편이다.
딩동댕대학교가 어떤 프로그램으로 성장하고 기억되길 바라나? 딩동댕대학교는 구독자 딩대생들과 끊임없이 소통하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대학교 콘셉트의 채널 안에서 역할 놀이도 가능하다. 이미 많은 분들이 딩동댕대학교란 커뮤니티에서 댓글로 강의에 대한 평가를 남기고 사연을 적어 교수님께 면담을 신청하고 있다. 지금의 20∼30대가 훗날 함께했던 친구처럼 딩동댕대학교를 기억해 주길 바란다.
아이러브캐릭터 / 장진구 기자 master@ilovecharacter.com
[ⓒ 아이러브캐릭터.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