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 아카이브의 중장기 전략과 서비스 방향
웹툰산업이 급성장하고 매년 엄청난 양의 작품이 만들어지면서 웹툰 데이터의 보존과 생성, 사용, 유통 정보의 기록 및 분석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웹툰 정보를 효과적으로 보존·분류하고 정확한 정보를 기록·열람할 수 있는 아카이브를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종류, 수량, 가격, 유통현황 등을 파악하고 불법 복제를 막는 웹툰표준식별번호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웹툰산업협회가 적극 나서 추진하고 있으나 정부의 지원과 협조가 절실한 실정이다.
균형 무너뜨리는 젠가 게임 멈추자
어떤 산업이든 잘 돌아가고 먹거리가 생기면 먹잇감을 찾아 기웃거리는 이들이 생겨나기 마련이다. 그 과정에서 이들은 마치 산업의 핵심 구성원인 양 행동하며 정작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들을 서로 오해하고 다투도록 이간질한다.
하지만 먹거리가 떨어지면 언제 그랬냐는 듯 주변을 탓하며 빠져나가 다른 먹거리를 찾는다.
이는 웹툰산업에서도 다르지 않다. 그래서 균형을 무너뜨리는 젠가 게임을 이용해 자신들에게 필요한 블록만 빼내려는 이들이 누구인지 구분하고 경계해야 한다.
기술의 발전은 웹툰을 어느 곳으로 이끄는가
웹툰 관련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술이 AI, 블록체인, NFT, 메타버스다.
블록체인은 웹툰업계의 고질적인 문제인 불법 복제를 막는 해결책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NFT는 혁신적인 수익구조를 제공할 가장 핫한 아이템으로 떠올랐지만 거품이 빠지는 분위기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 체험 등 콘텐츠 활용 수준에 머물고 있지만 앞으로 웹툰 제작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올 기술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특히 웹툰 제작의 주체를 바꿀 수 있고, 웹툰 IP 중심의 수익 모델에서 웹툰 제작을 위한 소스나 환경을 이용한 새로운 수익 모델을 제시하면서 웹툰의 무게중심이 제작에서 기획과 연출로 바뀌는 구조를 제시한다.
웹툰 환경에 큰 변화와 영향을 미치며 가장 먼저 상용화될 기술은 AI다. AI는 웹툰 제작에 필요한 여러 과정을 단축하고 생략하면서도 놀라운 품질을 보여준다. DB가 쌓여가면서 여러 공정에서 사람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또 웹툰 저작권에 대한 해석도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웹툰 PD 아카데미를 통한 인재교육의 과제와 목표
웹툰 분야로 전향한 기업이 많아지고 아예 처음부터 웹툰 사업을 목표로 한 신생 기업도 늘고 있다.
웹툰 기업이 많아지고 제작하는 작품 수가 늘면서 필요한 직군이 바로 웹툰 PD다. 웹툰을 만들 때 작가도 필요하지만 제작 과정을 운영·관리할 전문 인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웹툰산업협회는 웹툰 PD 아카데미를 통해 인재를 발굴, 육성하고 있다. 웹툰 PD는 웹툰의 해외 진출과 산업 확장으로 수요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따라서 웹툰 인재교육을 위한 정부와의 협업,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이처럼 2022년에는 다양한 이슈가 웹툰산업을 장식했다.
새해에도 그 열기는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그 역할과 성과의 중심에는 언제나 한국웹툰산업협회가 있다.
2023년에도 웹툰산업이 지속 성장이 가능한 선순환 구조의 생태계 구축을 실현하고 해외 진출을 통한 무대의 확장을 이뤄내도록 한국웹툰산업협회는 더욱 힘차게 뛸 것이다.
서범강
· (사)한국웹툰산업협회 회장
· 아이나무툰 대표
아이러브캐릭터 / 서범강 회장 master@ilovecharacter.com
[ⓒ 아이러브캐릭터.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