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 전 분야를 아우르는 IP 비즈니스 행사인 2022 콘텐츠 IP 산업전(Content IP Biz-Fair 2022)이 지난 11월 10일부터 사흘간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렸다.
콘텐츠 IP의 무한한 확장을 주제로 올해 처음 열린 이 행사는 콘텐츠 IP 관련 사업자, 미디어, 플랫폼을 연결해 원활한 생태계를 조성하고 K-콘텐츠의 지속적인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마련한 종합 비즈니스 전시회다.
콘텐츠 IP 산업전에는 캐릭터, 게임, 방송, 음악, 웹툰 등 콘텐츠 분야 180여 개 기업과 국내외 바이어 150여 명이 참가, 전시·상담과 사업설명회, 비즈매칭, 금융컨설팅, 법률 세미나 등 다채로운 B2B 프로그램을 통해 상호 교류하고 사업 기회 확대 방안을 모색했다.
행사 첫날인 10일에는 심준경 와이랩 대표. 박기수 한양대 교수, 이승용 해피업 이사가 발제자로 나서 분야별 콘텐츠 IP 연계 비즈니스 활성화 전략을 소개했으며, IP 산업 활성화를 위한 통합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IP 활성화 정책 로드맵 포럼이 열렸다.
콘텐츠 IP 산업의 최신 흐름과 정보를 공유하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라이선싱콘 2022도 11일부터 이틀간 진행됐다.
K-콘텐츠 IP의 비즈니스모델 제시란 주제로 열린 콘퍼런스에는 데이비드 메이젤(David Maisel) 마블스튜디오 초대 회장, 스캇 맨슨(Scott Manson) 하이브 아메리카 비즈니스 솔루션 대표, 영화 범죄도시를 만든 강윤성 감독, 이승규 더핑크퐁컴퍼니 부사장, 이성하 크래프톤 VP 등이 강연자로 나와 글로벌 콘텐츠 IP 비즈니스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하고 콘텐츠 IP 유니버스 구축 및 협업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콘텐츠산업 분야별 전문가들이 모인 이야기 IP 포럼에서는 윤희경 래몽래인 이사, 최선영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가 발제를 맡아 콘텐츠 IP 활용과 확장에 관한 국내외 사례와 주요 쟁점들을 소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김지연 팬엔터테인먼트 PD, 허성훈 법무법인 리우 변호사, 송요셉 콘진원 미래정책팀장은 IP 가치 확장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콘텐츠 IP 육성과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도 마련됐다. 애니메이션 부트캠프 데모데이에서는 기획개발을 마친 신규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중 심사를 거쳐 우수작 4편이 선정됐다.
또 피칭, 1:1 상담 등 프로그램을 통해 우수 콘텐츠 IP의 사업화 기회를 제공하는 콘텐츠 IP 사업화 상담회, 우수 중소 콘텐츠 기업과 대기업 간 협업사례 발표 및 IP를 활용한 제품을 선보이는 IP 라이선싱 빌드업, 종사자와 기업 대상 콘텐츠 저작권 관련 법률 세미나 등 다채로운 B2B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조현래 콘진원장은 “콘텐츠 IP 중심으로 재편되는 산업 지형과 가치사슬 변화에 대응하고자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 며 “콘텐츠 IP 산업전을 통해 우수한 국내 IP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길 기대한다” 고 전했다.
아이러브캐릭터 / 장진구 기자 master@ilovecharacter.com
[ⓒ 아이러브캐릭터.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