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더버니
2018년 우리나라에 첫선을 보인 에스더버니는 이국적인 분위기와 사랑스러운 핑크색, 일렁이는 눈망울과 솜사탕 같은 이미지로 단숨에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에스더버니는 롯데프리미엄아울렛, 롯데제과, 이랜드리테일, 파리바게뜨, 카카오프렌즈, 리코더팩토리, 플레이인더박스 등 여러 기업 및 브랜드와 콜라보레이션하고 팝업 스토어를 열면서 빠르게 인지도 쌓아 갔고 국내외 50여 개 업체, 600여 개 품목과 라이선싱 계약을 맺어 가장 인기 있는 토끼 캐릭터로 떠올랐다. 2021년부터는 태국, 대만, 홍콩 등 해외에서 콜라보레이션을 본격 전개하고 있다. 최근에는 태국에서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쇼핑몰 시암센터가 에스더버니의 러블리 핑크로 꾸며지는 등 동남아 지역 파트너들의 협업 제안이 쇄도하고 있다.
달고나
스튜디오 달고나는 웹툰 달고나 일기의 주인공 달고나를 중심으로 형성된 IP다. 사회 초년생 달고나의 이야기를 다룬 달고나 일기는 2013년부터 7년간 연재됐고 초보 육아맘의 좌충우돌 일상을 그린 웹툰 달고나 육아일기가 2021년부터 연재되고 있다. 스튜디오 달고나는 특유의 공감 스토리를 선보이며 오래 사랑받고 있다. 오렌지와 옐로의 따뜻한 색감과 자연스러운 터치 라인이 특징인 디자인은 달고나만의 친근한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스튜디오 달고나는 글로벌 드러그스토어 체인 왓슨(Watsons)과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해 뷰티, 미용 소품, 생활용품 등을 글로벌 시장에 순차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스튜디오 달고나는 웹툰은 물론 단행본, 이모티콘, 네이버 OGQ마켓 스티커 등으로 꾸준히 출시되며 다채로운 상품에 활용되고 있다.
슈야
슈야는 경쟁이 치열한 카카오톡 이모티콘 마켓에서 전체 판매 순위 1위를 차지할 만큼 대중적으로 인기가 높은 IP다. 달콤한 슈크림 느낌이 가득한 귀여운 토끼 슈야와 토야가 그리는 알콩달콩한 연인의 모습이 공감을 얻은 덕에 슈야·토야 이모티콘 2종이 많이 선물하는 이모티콘 1·2위를 차지, MZ세대 커플들의 최애 이모티콘임을 입증했다. 슈야와 토야의 소소한 커플 스토리는 컷툰으로 제작돼 슈야 공식 SNS에 공개되고 있으며 인스타그램에는 평균 5,000개가 넘는 ‘좋아요’ 와 수많은 댓글이 달리고 있다. 이모티콘 캐릭터의 특장점인 간결한 라인과 컬러를 고스란히 담은 디자인의 슈야는 2019년 첫 출시 후 지금까지 15개의 이모티콘으로 출시됐다. 유아동 의류 브랜드 로엠걸스와 콜라보레이션한 슈야는 다양한 상품 판매와 전시를 통해 팬들과의 접점을 넓혀나가고 있다.
모모레이
레트로 코믹스 분위기를 사랑스럽게 재해석한 디자인과 경쾌한 컬러의 모모레이는 요즘 핫한 성수동을 떠올리게 만드는 힙한 매력이 있다. 패셔니스타를 꿈꾸는 애교쟁이 토끼 리코와 소녀 감성의 러블리한 곰 인형 핑코로 구성된 모모레이는 귀여우면서도 패셔너블한 아트워크가 특징이다. 모모레이는 해외에서 먼저 반응을 얻은 IP다. 대만과 태국의 라인(LINE) 메신저에 스티커로 첫선을 보인 모모레이는 대만의 패션 브랜드, 마카롱 브랜드, 그리고 카페 등과 협업했다. 모모레이는 우리나라에서도 카카오톡 이모티콘과 인스타그램 콘텐츠를 통해 팬덤을 넓혀가고 있다. 뷰티 브랜드 벨라몬스터(Bella Monster)와 콜라보레이션을 펼친 모모레이는 봉제 인형, 스마트폰 액세서리, 키링, 문구류 등 다양한 상품에 등장해 매력을 뽐내고 있다.
미피
미피는 1955년 네덜란드의 작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 딕 브루너가 쓴 아동 그림책 시리즈의 주인공으로 파란색 원피스를 입은 하얀 토끼 캐릭터다. 딕 브루너의 작품은 픽토그램처럼 누구나 보고 바로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단순하며 브루너 컬러라고 불리는 6가지 색상을 활용해 따뜻함이 느껴진다. 특히 그림책에서 파생된 오리지널 아트워크와 미피 3D 애니메이션 아트워크 외에도 다양한 색감과 패턴을 응용한 트렌드 북 아트워크가 주기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트렌드 북 아트워크를 통해 유아, 아동, 성인 등 연령별 타깃과 시즌에 맞는 콘셉트의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몰랑
돼지토끼에서 영감을 얻어 태어난 몰랑의 나이도 이제 13살. 몰랑은 2019년 대한민국 콘텐츠대상 캐릭터 부문에서 영예의 대통령상을 수상한 국내 토끼 캐릭터계의 터줏대감이다. 빈둥빈둥 놀기만 좋아하고 몸을 움직이는 것을 싫어하지만 맛있는 음식과 달콤한 간식을 찾아다니는 건 열심이어서 살만 통통하게 오른 토끼 캐릭터가 바로 몰랑이다. 윤혜지 작가는 개인 콘텐츠 창작자로서 다양한 사업을 주도하며 이례적인 성공을 거둬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지난 11월 서울시 영등포구 더현대 서울에서 최초로 팝업 스토어를 열어 오프라인 이벤트에 갈증을 느낀 팬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 하얀오리는 새해부터 온·오프라인 이벤트를 본격 전개할 계획이다.
또앙찌
잘 웃고 잘 울고 가끔 토라지기도 하지만 밝고 긍정적인 흰 또앙찌와 행복한 사랑에 빠진 핑크 또앙찌. 사랑스러운 토끼 두 마리를 중심으로 다양한 캐릭터가 어우러진 또앙찌는 귀엽고 알콩달콩한 일상의 모습을 담은 카카오톡 이모티콘과 인스타툰을 통해 수많은 커플의 공감을 얻으며 활발하게 활동 중인 인기 캐릭터다. 또앙찌는 15종 이상의 카카오톡 이모티콘으로 발매됐으며 인스타그램 팔로어도 6만 명에 달할 정도로 10대와 직장인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카카오톡 이모티콘과 인스타그램을 통해 인지도를 높이고 있는 꿀비 작가의 캐릭터 또앙찌가 토끼해를 맞아 어떤 활약을 펼칠지 기대가 모아진다.

벅스 버니(Bugs Bunny)
미국의 단편 애니메이션 루니 툰에 등장하는 캐릭터다. 루니 툰의 등장인물 중 가장 유명한 캐릭터이자 워너브라더스의 마스코트 격인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 땅굴을 파고 사는 전형적인 회색 토끼 벅스 버니는 위급한 상황과 마주하면 특유의 낙천적인 성격과 침착함으로 전세를 역전시키곤 한다. 20분짜리 벅스 버니 시리즈는 수십 년간 전 세계 어린이들에게 꿈과 환상을 심어준 클래식 코믹 애니메이션으로 꼽힌다. 뻔뻔하고 장난기 넘치는 행동으로 매일 예측 불허 해프닝을 일으키지만 사랑할 수밖에 없는 벅스 버니, 대피 덕, 테즈, 트위티, 엘머 등의 캐릭터는 이 작품의 가장 큰 매력이다.
피터 래빗(Peter Rabbit)
피터 래빗은 영국의 여류 작가 베아트릭스 포터가 탄생시킨 동화 속 캐릭터로 1902년 처음 공개됐다. 사람처럼 재킷을 입고 구두를 신고 다니는 피터 래빗은 작가가 가정교사의 다섯 살 아들을 위해 시작한 그림 이야기 편지에서 출발해 시리즈로 출간됐다. 피터 래빗은 시리즈 중 첫 번째 이야기에 등장한다. 피터라는 이름의 토끼는 엄마 말을 듣지 않고 동네 농부의 집에 들어갔다가 걸려 옷을 잃어버리고 다시 돌아온다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피터 래빗은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돼 우리나라에서 방영되기도 했다. 2006년에는 영국에서 작가의 일생을 다룬 영화 미스 포터(Miss Potter)가 제작됐고 2016년부터는 작가의 탄생 150주년을 기념해 그녀의 소설을 소재로 50펜스 동전 기념 주화가 발행되고 있으며 피터 래빗 기념 주화도 2019년까지 나왔다.
마시마로
마시마로의 이름은 마시멜로에서 따왔다. 겉으로 보기에는 여느 토끼와 다르지 않지만 머리로 맥주병을 깨고 사나운 곰을 어르고 달래면서 엽기 토끼란 별명이 붙었다. 무뚝뚝하고 말 없이 그저 행동으로 보여주는 마시마로는 상품이 해외로 수출된 국산 캐릭터 1호 기록을 갖고 있다. 세영코리아는 공식 블로그에 “2000년 마시마로보다 더 행복한 마시마로가 되어 2023년에 다시 만나요” 라는 글을 올리면서 추억의 캐릭터 마시마로의 부활을 알렸다. 지난 8월에는 공식 계정이 개설돼 잠시 지구를 떠나 달에 정착했던 마시마로가 다시 지구로 돌아온다는 내용의 이미지가 공개되기도 했다. 짧은 플래시 애니메이션에서 출발한 마시마로는 해외에 영상을 배급하고 상품을 수출해 연간 2,000억 원 이상을 벌어들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오버액션토끼
이름에서 보듯 대부분의 행동이 과장된 토끼다. 눈에 해당하는 작은 점 2개와 그 아래 미묘하게 웃는 듯한 모양의 삼각형 입으로 이루어진 심플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오버액션토끼는 토끼, 꼬마 토끼, 마시멜로 토끼로 구성됐다. 꼬마 토끼는 꼬마 곰과 매우 친하고 마시멜로 토끼는 꼬마 토끼가 키우는 반려동물처럼 그려진다. 일본 작가 네모타로가 라인 메신저의 스티커로 출시한 오버액션토끼는 카카오톡 이모티콘으로 나오면서 우리나라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 아이러브캐릭터.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