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부문에서는 국산 애니메이션 제작 지원에 118억 8,900만 원, IP 활용 애니메이션 제작 지원에 30억 원, 차세대 애니메이션 제작 지원에 12억 원, 독립 애니메이션 제작 지원에 13억 원, 애니메이션 부트 캠프에 7억 2,000만 원, 해외 진출 지원과 현장 전문 인력 양성에 각각 10억 6,000만 원, 11억 원이 배정됐다.
특히 새해에는 애니메이션 부트 캠프의 후속 지원 프로그램인 파일럿 제작 지원 및 피칭 쇼케이스 개최를 비롯해 애니메이션 기획 개발 공모전, 기획 프로듀서 육성 지원사업이 신설돼 각각 9억 7,500만 원, 5억 5,500만 원, 7억 5,000만 원이 편성됐다.
한편 콘진원은 새해부터 지원사업 평가위원 풀을 재정비한다. 현장 전문성을 갖춘 평가위원 확대를 통해 심사의 전문성을 강화한다. 공신력 있는 현장 전문가가 평가하도록 해 사업 간 정합성을 높이고 우수한 기업이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개선한다.
수요자 중심의 현장 친화적 진흥정책을 위해 사업 구조와 지원제도도 개편한다. 기존의 일률적인 지원 구조에서 벗어나 초기·영세 기업을 위한 지원과 세계 시장을 겨냥한 K-콘텐츠 육성 지원으로 이원화해 지원 구조를 다각화하고 사업 특성에 따라 맞춤형 지원을 추진한다.
또 짧은 협약 기간을 개선하고자 다년도 지원을 도입, 보다 안정적인 제작 여건을 보장하고 지원 실효성을 높인다.
아울러 콘진원 지원사업에 대한 제작 지원 인증제를 시행해 K-콘텐츠의 해외 경쟁력과 IP 신인도 제고를 위해 노력한다.
이 밖에 콘텐츠 관련 주요 대회에서 수상한 기업에 대해 지원사업에 가점을 부여하는 수상 기업 가점제를 시행한다.
문체부·콘진원이 주최하는 콘텐츠 대회·시상식에서 수상한 기업이 동 프로젝트로 후속 지원사업을 신청하면 서면 평가에 가점을 부여하는 제도다.
아이러브캐릭터 / 장진구 기자 master@ilovecharacter.com
[ⓒ 아이러브캐릭터.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