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구 기자
master@ilovecharacter.com | 2025-11-03 09:00:45
<꼬마마법사 주니토니>는 유튜브 스타 주니토니의 세계관을 확장하는 시작점이다. 대마법사 멜리나가 사라진 후 혼란스러운 아클란네 마법 유치원의 평화를 지키려는 주니와 토니는 B급 감성이 묻어나는 코믹스토리를 통해 이제껏 보지 못한 새로운 매력을 뽐낼 태세다. 긴장하자. 극장에서 맛보기로 보여준 웃음폭탄이 곧 터질 시간이다.
기존 팬과 새로운 시청자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 주력한건?
유튜브 채널은 생활 습관이나 일상 예절, 기초 학습같이 부모님들이 좋아할 만한 교육적인 내용이 중심인데 TV시리즈는 개그 비중이 크다. 아이들을 어떻게 웃길까에 집중했다. 교육적인 건 이미 유튜브에 많이 있으니 TV시리즈는 약간 B급 정서를 담은 재미에 초점을 맞췄다. 유튜브 속 주니토니가 익숙한 아이들이 새로운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했다.
애니메이션에 어떤 가치를 담았나?
배경을 유치원으로 설정한 건 이해와 협동에 관해 얘기하고 싶어서였다. 요즘 아이들의 감정이나 생각이 점점 획일화돼 가는 느낌이다. 사회·문화적 흐름인지 미디어의 영향인지는 알 수 없는데 그저 드러난 현상만 인식할 뿐 상상력이나 사고력이 옛날만큼 풍부하진 않아 보이더라. 자존감이 높은데 이기적인 성향도 짙어지고 있다. 그래서 친구들과 감정을 나누고 소통하는 이야기로 아이들의 밝은 성장을 저해하는 요소들을 좀 줄일 수 있는 작품을 만들고 싶었다. 마법을 소재로 했지만 사실 마법으로 해결하는 문제는 별로 없다. 협동으로 해결한다. 에피소드마다 주니토니를 둘러싼 서브 캐릭터들의 감정이 잘 드러나게 해 서로의 감정에 눈과 귀를 기울이고 얘기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려고 했다.
키즈캐슬의 뮤지컬 애니메이션은 어떻게 다른가?
뮤지컬 애니메이션을 만든다고 하면, 보통 애니메이션을 기준으로 음악을 입힌다. 영상에 음악을 맞추는 건데 싱크로율이 좀 떨어진다. 키즈캐슬은 원래 음악을 만드는 곳이어서 영상과 음악이 찰떡이다. 시나리오에 미리 음악을 버무리니 이야기와 영상에 잘 녹아들었다. 특히 기존 뮤지컬 애니메이션은 대사와 노래 신이 분리돼 있는데 우리 작품은 대화하듯 주고받는 다이얼로그 송이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대화가 끝나고 노래가 나오는 구간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실제 뮤지컬처럼 대화와 노래가 융화돼 보고 듣는 재미가 완전히 다를 거다.
눈길을 사로잡을 신스틸러는 누굴까?
개성이 모두 달라 어느 하나를 꼽긴 어렵다. 알파란 캐릭터는 잘 부딪히고 어리바리한데 장면 사이사이 엉뚱한 행동으로 웃음을 준다. 수줍어서 말도 잘 못하고 끙끙 앓는 슈리는 자주 나오진 않지만 느닷없이 나타나 사방을 달리면서 소동을 벌인다. 케이크맨도 있다. 친구들이 싸우고 큰 소리가 나면 어디선가 “축하 축하해”라고 외치며 등장한다. 주니의 라이벌 쿤타는 밉상이어도 정감 가는 캐릭터다. 마음에 드는 신스틸러를 시청자들이 골라 보길 바란다.
제작 과정에서 가장 공들인 부분은?
개그 코드가 강하다보니 3D 캐릭터들의 얼굴 표정을 잡는 데 신경을 많이 썼다. 딱딱하거나 어색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표정을 구현하는 게 중요했으니까. 그래서 코믹한 상황이나 감정이 드러나는 장면에서 더욱 실감 나는 표정을 만들려고 2D 페이셜 기법을 쓰기도 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어려웠던 건 어린이 애니메이션에서 허용되는 이야기 소재와 개그 수준이 어디까지인지에 관한 것이었다. B급 개그라서 더 그랬는지 모르겠는데 에피소드를 만들면서 갈아엎은 적이 꽤 있었다. 사실 선을 좀 뛰어넘고 싶은 욕심이 있었지만 무작정 밀고 가자니 부담이 컸다. 참고할 만한 사례가 없어서 고민을 참 많이 했다.
IP 사업 전략이 궁금하다
처음 시작할 때부터 완구 중심으로 갈지, 캐릭터 중심으로 갈지, 아니면 중간 형태로 할지고민의 연속이었다. 한 달 남짓 이어진 치열한 토론 끝에 오래도록 사랑받을 캐릭터 중심의 작품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시간이 좀 걸릴 수도 있지만 앞으로 캐릭터 정체성과 세계관을 꾸준히 알려 뽀로로처럼 아이들 주변과 일상에 주니토니가 자리할 수 있게 하겠다. 세계관도 마블코믹스 같이 다양화하겠다. 지금은 주니토니가 주인공이지만 다른 이야기에서 다른 주인공이 각각의 세계를 만들어 각각의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거대한 키즈캐슬 유니버스를 완성하는 것이 목표다. 이야기에 끌린다면 사업은 자연스레 뒤따르지 않을까.
아이러브캐릭터 / 장진구 기자 master@ilovecharacter.com
[ⓒ 아이러브캐릭터.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