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면의 진품명품 16] 짝퉁에 대한 유럽의 인식

Column

김종면

master@ilovecharacter.com | 2023-08-15 11:00:59

이번 칼럼에서는 유럽특허청이 발표한 유럽 시민 및 지식재산권: 지각, 인식 그리고 행동-2023 보고서를 요약·정리한 내용을 통해 위조 상품에 관한 유럽인들의 인식이 어떤지 알아본다.


보고서 개요
유럽 시민 및 지식재산권: 지각, 인식 그리고 행동-2023 보고서는 유럽연합 모든 체약국 내에서 15세 이상 2만 5,824명에 대한 인터뷰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의 유럽인이 위조품 구매가 정당한 행동이 아님을 인식하고 있으며 위조품이 비윤리적 행동, 범죄 조직을 조장하고 비즈니스와 일자리를 파괴함으로써 부정적인 경제적 영향을 미친다고 믿고 있다. 또 유럽인 10명 중 1명 이상이 위조품을 구매한 적이있다고 인정했다.

 

위조품 구매의 부정정인 영향에 대한 인식

 

위조품에 대한 유럽연합 시민들의 인식
위 그래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유럽인들은 위조품 구매의 부정적인 영향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다. 10명 중 8명(83%)이 위조품 구매가 비윤리적 행동을 지원한다고 생각하고 있고 80%는 위조품 구매가 범죄조직을 지원한다고 생각하며, 79%는 위조품 구매가 비지니스와 일자리를 파괴한다는 데 동의했다.

설문에 응답한 유럽연합 시민 중 66%는 위조품 구매가 건강과 안전에 위협이 된다는 것에 동의했고 62%는 위조품 구매가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 반면 위조품 구매가 시장 주도 경제와 대형 프리미엄 브랜드에 저항하는 수단으로 인정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절반 가량의 응답자가 동의했다.

 

위조품에 대한 인식

 

위조품 구매 정당성에 대한 질문에 대해 대다수의 유럽인은 정당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모든 사람이 위조 상품을 구매하기 때문에 위조품 구매가 크게 문제될 게 없다고 응답한 사람은 19%에 불과했다. 정품이 없거나 아직 구매할 수 없는 경우 위조품을 구매해도 되는지에 대해서도 24%의 응답자만 문제될 게 없다고 답했다. 다만 정품의 가격이 너무 비쌀 경우 위조품을 구매할수 있다고 한 응답은 31%에 달했다.
위조품 구매가 정당화될 수 있는 사유들에 대한 수용 정도는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젊은 유럽인일수록 위조품 구매 정당성에 동의하는 경향이 강했다. 예를 들어 15∼24세 사이의 절반(50%)은 정품 가격이 너무 높을 때 위조품을 구매하는 것이 허용된다는 데 전적으로 동의하거나 동의하는경향이 있었고 10명 중 4명(41%)은 명품의 경우 위조품을 구매하는 것이 허용된다고 답했다.

 

유럽 젊은 층의 위조품에 대한 태도

 

위조품을 의도적으로 구매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위조품 구매행동을 정당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위조품 구매자는 정품 가격이 너무 높을 때(71%) 위조품 구매가 허용될 수 있다고생각했다. 10명 중 6명 이상이 정품이 럭셔리 브랜드일 때(63%), 제품을 구할 수 없을 때(61%), 제품의 품질이 중요하지 않을 때(61%) 위조품 구매가 용인된다고 생각했다. 모두 위조품을 구매하기 때문에 위조품을 구매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한 응답자도 절반 이상(54%)이었다.

 

위조품의 소비

지난 12개월 동안 의도적으로 위조 상품을 구입했다고 한 유럽인의 비율은 13%였다. 그러나 스스로 신고한 위조품 구매의 발생률은 국가마다 크게 달랐다. 불가리아가 가장 높은 24%였고 핀란드가 가장 낮은 8%였다. 불가리아 외에도 스페인(20%), 아일랜드(19%), 룩셈부르크(19%), 루마니아(18%)에서 의도적인 위조품 구매가 EU 평균보다 높았다.

 

국가별 의도적 위조품 구매자

 

젊은 사람들은 나이든 사람들보다 의도적인 위조품 구매에 대해 허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15세에서 24세 사이의 소비자 중 약 1/4(26%)이 그런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EU 평균의 두 배다.

아래 표는 의도적인 위조품 구매자의 프로필을 보여준다. 15∼24세, 25∼34세 및 35∼44세 유럽인의 위조품 소비는 EU 평균 이상이었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45세 이상 유럽인의 경우 이러한 상품의 구매가 10% 미만으로 떨어진다.

 

연령별 의도적 위조품 구매자

 

위조품을 구매한 이유 또는 구매하지 않은 이유
위조품을 구매하지 않는 이유는 고의로 구매한 사람과 구매하지 않은 사람에 따라 다르다. 첫 번째 그룹의 경우 합리적인 정품의 가격이 이러한 위조품 구매를 중단하도록 할 수 있지만 두 번째 그룹은 주로 위조품 구매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이해와 인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의도적으로 위조 상품을 구입했다고 한 유럽인의 경우 정품의 합리적인 가격이 위조 상품 구매를 중단하게 만드는 주요 원인이었다. 10명 중 4명(43%)은 원래 제품의 가격이 저렴하다면 이러한 행동을 중단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25%는 정품을 더 많이 제공하거나 더 나은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위조품 구매를 중단하는 이유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정품 제공과 관련된 이 두 가지 이유 외에도 제품의 품질 저하(27%), 안전 또는 건강 위험(25%) 또는 적발 및 벌금 부과 위험(21%)과 같은 위조품에 대한 나쁜 경험에 노출될 위험도 위조품 구매를 중단하는 동인으로 작용한다. 일자리와 경제(19%), 원래 제품의 생산자(19%) 또는 환경(16%)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위조품 구매를 중단해야 하는 잠재적인 이유로 언급되기도 했다.

  

무엇이 당신의 위조품 구매를 중단하게 하나요?

 

위조품 구매를 중단해야 하는 이유는 여러 측면에서 연령에 따라 다르다. 첫째, 위조품을 구매한 젊은 유럽인은 정품의 합리적인 가격으로 인해 위조품 구매를 중단할 것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나이든 유럽인보다 적었다. 15∼24세의 경우 40%, 25∼34세의 경우 37%, 평균 43%, 65세 이상의 경우 58%다. 그러나 정품의 합리적인 가격은 여전히 위조품 구매를 중단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동인이다.
대조적으로 젊은 유럽인들은 위조품이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이해하고 인식할 경우 위조품 구매를 중단할 것이라고 말하는 경향이 평균보다 훨씬 더 높다. 일자리와 EU 경제 또는 원래 제품의 생산자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 15∼24세의 23%가 위조품 구매를 중단할 것이라고 했는데 이는 평균을 상당히 웃도는 수치다. 환경에 미치는 피해의 경우에도 22%로 평균 18%를 웃돈다.

의도적으로 위조품을 구매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자신, 사회 및 생산자에 대한 해로운 영향은 위조품을 구매하지 않는 가장 중요한 동인이며 정품의 경제성, 품질 또는 가용성보다 더 중요했다. 그들은 위조품의 구매가 건강 및 안전을 위협하고(34%) 정품 생산자에게 피해를 야기하며(33%) 그 외에도 범죄 조직을 지원한다는(36%) 사실을 가장 자주 언급했다.
여기에서도 나이에 따라 결과가 다르다. 15세에서 24세 사이의 사람들은 위의 세 가지 이유(범죄조직 지원, 안전과 건강의 위협, 정품생산자의 피해, 각각 25%, 27%, 26%)에 따라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평균보다 훨씬 낮다. 반면 이들은 자신의 대외적인 이미지에 대한 잠재적 피해에 대해 평균보다 더 민감하다. 19%는 그러한 피해의 위험 때문에 위조품을 구매하지 못한다고 말했는데 이는 평균 13%보다 상당히 높은 수치다.

 

의도적으로 위조품 구매를 하지 않는다고 답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김종면
●위고페어 대표(AI 기반 온라인 위조 상품 모니터링 플랫폼 WEGOFAIR 운영사)
●이메일: kjm4good@gmail.com

 

 

아이러브캐릭터 / 김종면 master@ilovecharacter.com 

 

[ⓒ 아이러브캐릭터. 무단전재-재배포 금지]